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LLM11

구글, 인간이 가르치지 않은 새로운 지식까지 생성하는 '펀서치' 공개 구글의 인공지능 연구팀 딥마인드가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한 새로운 AI 도구 '펀서치'를 선보였습니다. 이 도구는 인간이 가르치지 않은, 즉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지식까지 생성해내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4일(현지시간) 구글 딥마인드는 자체 블로그를 통해 이 연구 결과를 공개하였습니다. 펀서치는 수학, 컴퓨터 과학 등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내는 AI 도구로, LLM이 제안하는 답변 중에서 가치 있는 것을 선별하고, 그를 통해 답을 고도화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였다고 밝혔습니다. LLM이 이전에 학습하지 않은 완전히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는 것은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심지어 새로운 지식을 생성했다 해도, 그 결과가 환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딥마인드 연구원인 알후세인 파.. 2023. 12. 19.
'제미나이' 시연 영상 편집 논란, 구글 "성능 시현 목적" 구글의 AI '제미나이', 무슨 일? 구글이 새롭게 발표한 거대언어모델 '제미나이'의 시연 영상이 일부 편집된 것으로 밝혀져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구글은 제미나이가 물리학 문제를 해결하거나 챗봇으로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했지만, 실제로는 제미나이가 잘못된 답변을 내거나 이상한 대화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구글은 영상을 편집한 것은 제미나이의 능력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아직 개발 중인 모델이라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런 행동이 AI의 신뢰성을 훼손시키며, 과대광고나 기만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제미나이', 구글의 트럼프 카드 '제미나이'는 구글이 오픈AI의 'GPT-4'에 맞서기 위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입니다. 이 .. 2023. 12. 12.
'라마파일' 엣지 AI와 LLM의 만남으로 새로운 기술의 가능성을 보다 막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LLM(Large Language Model)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큰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성능에 비례하는 복잡한 설정과 고사양 컴퓨터의 필요성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질라는 LLM을 단일 실행 파일인 '라마파일'로 변환하여 PC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오픈 소스 솔루션을 선보였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 '라마파일'의 개념부터 작동 원리, 그리고 장단점에 이르기까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LLM(Large Language Model)이란? LLM은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모델입니다. 이를 통해 텍스트 생성, 요약.. 2023. 12. 10.
728x90
반응형
LIST